저녁으로 감자수제비를 해 먹으려고 감자수제비를 사러 갔어요. 청정원 찰진감자생수제비와 감자생수제비가 보였어요. 가격차이가 별로 안 나서 뭐가 더 맛있을까? 고민하다가 그래도 인지도 있는 청정원 수제비가 더 맛있겠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 그런데 포장지 뒷면에 표시된 재료를 보다가 제조업체를 보았는데 둘 다 청기와집식품에서 만든 수제비였습니다. 청정원 찰진감자생수제비와 감자생수제비(예전에 풀무원브랜드로 팔았나 봐요)는 모두 청기와집식품 제품이었습니다. 같은 제조업체인데 다른 회사, 다른 브랜드로 판매하는 이유가 궁금해서 알아보았습니다.
<같은 제조업체 제품을 다른회사, 다른 브랜드로 판매하는 이유>
1. 유통 채널 및 마케팅 전략
- 같은 제조업체라도 대형마트(이마트, 홈플러스 등)와 편의점(CU, GS25 등)브랜드가 다른 경우가 많음.
- 특정 마트나 편의점 전용 제품으로 만들어진 경우. (예: 이마트 노브랜드 제품)
2. 소비자 타겟 및 시장 세분화
- 같은 제조업체라도 프리미엄 브랜드와 가성비 브랜드를 따로 운영하는 경우가 있음. (예 : 농심 짜파게티와 올리브 짜파게티)
3. 유통업체와 계약
- 특정 브랜드로 독점계약이 맺어진 경우 같은 제품이라도 다른 브랜드로 출시할 수 있음.(동원 참치를 코스트코에서 커클랜드 브랜드로 판매)
4. OEM(주문자상표부착생산)과 ODM(제조업자개발생산) 방식
- 한 회사가 제조하지만 여러 기업에 공급하는 방식(OEM)이나, 아예 브랜드별로 차별화한 제품을 기획하는 방식(ODM)이 있음. (예 : 삼양식품에서 제조한 편의점 전용 라면이 다른 이름으로 출시)
5. 지역별, 해외시장 전략
- 같은 제품이라도 해외 수출용 브랜드로 따로 만들기도 함. (농심 신라면이 해외에서는 "Nongshim Spicy Noodle"이름으로 판매)
그런데 같은 제조업체 제품이 다른 브랜드로 판매하는 경우 같은 업체에서 만들었더라도 제품의 품질이 다를 수 있습니다.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.
<같은 제조업체 다른 브랜드 품질이 동일하지 않은 이유>
1. 원재료와 레시피 차이
- 같은 공장에서 생산해도 원재료의 비율이나 품질이 다를 수 있다.(예: 대형마트의 PB제품은 일반브랜드 제품보다 원재료 함량을 조정하여 원가를 낮추는 경우가 많음)
2. 포장 방식과 유통 기한 차이
- 브랜드별로 포장 재질이나 보관 방식이 다를 수 있으며, 이로 인해 유통 기한이나 신선도에 차이가 날 수 있다.(같은 공장에서 생산한 우유라도 프리미엄 브랜드는 멸균팩을 사용하고 PB제품은 일반 종이팩을 사용할 수 있음)
3. 공정 차이 및 품질 관리 기준
- 프리미엄 브랜드는 엄격한 품질 기준을 적용하지만, PB제품이나 저가형 브랜드는 제조 공정에서 원가 절감을 위해 일부 단계를 생략할 수도 있다. (같은 과자라도 프리미엄 제품은 더 정밀한 공정으로 바삭함을 유지하는 반면, 저가형 제품은 기름을 조금 덜 쓰거나 굽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음)
4. 유통 과정 및 가격 차이
- 일반 브랜드 제품은 마케팅 비용과 광고비가 포함되지만, PB제품은 마케팅 비용이 적게 들어 가격이 저렴하다.
- 가격이 저렴한 만큼 일부 원재료의 등급을 낮추거나 생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.
같은 공장에서 만들었어도 위와 같은 이유로 맛이나 품질이 조금 다를 수 있다고 합니다. 하지만 큰 차이가 없거나 가격면에서 PB제품이 더 가성비 좋은 제품이 많다고 하니 비교해 보고 좋은 제품으로 구매하시면 될 것 같아요.
청정원 찰진감자수제비와 감자생수제비는 둘 다 먹어보았는데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. 둘 다 맛있습니다. 두 제품의 차이 보다는 감자수제비에 들어가는 재료 : 감자, 양파, 애호박, 마늘, 파, 멸치다시다팩, 후춧가루, 참치액 그리고 바지락이 들어가야 맛있습니다. 감자수제비에는 무엇보다 바지락이 들어가면 시원하고 맛있습니다.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건전지 갈때는 모두 교체하는 것이 좋아요 (0) | 2025.04.05 |
---|---|
다양한 손부업 사기 조심하세요 (2) | 2025.04.01 |
병원에서 혈압을 재면 높게 나와요 (0) | 2025.03.25 |
오리털패딩 집에서 세탁하는 방법과 주의사항 (0) | 2025.03.24 |
2025년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대상자와 지급일정 (0) | 2025.03.20 |